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반드시 알아야 할 임신·출산에 관한 국가 지원 서비스의 모든 것

by 00동 부르주아 2022. 10. 10.
반응형

행복 출산 원스톱 서비스

 

이제 11월이 되면 아내가 예쁜 아가를 출산할 예정이다. 

 

드디어 필자는 아이의 아빠가 된다.

 

그동안 출산 전까지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겪었다.

 

여러 가지 시행착오 중에서도 정부 지원 사업을 일목 요연하게 설명하는 블로그가 없어서

 

검색하느라 시간을 많이 소비하였는데, 앞으로 임신과 출산 준비 중인 예비 엄마, 아빠들의

 

시행착오를 조금이나마 줄여주고자 오늘은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에 대해 포스팅하겠다.

 

 

1. 출산지원 서비스 

출산지원서비스는 전국공통 서비스와 지자체 서비스로 구분된다.

 

아래 그림을 보면 어떠한 서비스가 있는지 한눈에 상세히 알 수 있다.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신청

 

2. 원스톱 서비스 사용 방법

네이버에서 '정부24 원스톱서비스'라고 검색을 하거나,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https://www.gov.kr/portal/fertility.do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 원스톱 서비스 | 똑똑한 서비스 | 정부서비스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원스톱 서비스 검색 방법

 

3.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을 클릭하면, 임신하고 나서 출산 전까지 정부에서 지원하는 서비스가 모두 나온다.

정부 24 원스톱 서비스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에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과 난임부부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지원 대상과 내용은 각 지자체 별로 다를 수 있으니 해당 거주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길 바란다.

임신 서비스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엽산제 지원은 산부인과에서 임신확인이 확정되면 임신확인증 또는 산모수첩을 가지고 동네 보건소에

가서 직접 수령하거나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사이트에서 신청하여 택배로 수령할 수 있다.

 

철분제 지원임신이 16주 이상이 되면 보건소에 가서 임신확인증 또는 산모수첩을 가지고 동네 보건소에

가서 직접 수령하거나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사이트에서 신청하여 택배로 수령할 수 있다.

 

*엽산제나 철분제를 대리 수령 시에는 가족관계 증명서와 신분증을 지참하여야 하고, 특히 철분제 수령 시에는 반드시 16주가 되어야 한다. 15주 6일이면 철분제를 수령할 수 없으니 반드시 16주 이후에 가야 한다.

 

표준모자보건수첩은 산모수첩이라고 흔히 부르고, 보건소에서 수령하지 않아도 산부인과에서 받을 수 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출산예정일 40일전~출산 후 30일까지 신청해야 한다.

아래 내용은 필자가 거주하는 지차제 기준이므로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
(산후도우미 지원)
대상: 기준중위소득 150%이하
    -예외지원: 둘째아 이상 출산가정, 쌍생아, 결혼이민자, 장애인산모, 희귀질환자, 새터민 산모,
      미혼모(미혼모 산모의 경우, 사실혼 또는 단순 혼인신고 미신고 상태인 경우 제외)
내용: 5~20일 도우미 지원
    ※유효기간: 출산일부터 60일 이내(한시적 90일)=>출산일로부터 120일 경과시 바우처 소멸
신청: 출산예정일 40일전 ~ 출산후 30일까지
산후조리도우미 이용
본인부담금 지원
대상: 2022.1.1부터 산후조리도우미 바우처 서비스 이용자
    -도내 거주 6개월 이상 가정(산모기준) ※가. 통합 유형만 해당(둘째아 이상 소득 무관)
내용: 본인부담금 90%지원하되 상한액 40만원
   ※서비스이용 중 타시도 전출한 경우, 도내 거주기간 중 이용 본인부담금의 90%지원
신청: 산후조리도우미 서비스 종료 후 6개월 이내 ※신청 기한 지날 시 지급 불가

맘편한 KTX는 코레일 멤버십 가입 후 멤버십 번호가 필요하고 신청 당일 이용은 불가한다.

     (지원대상) 코레일멤버십 회원 중 임신부 외 보호자 1명(임신부와 동행하지 않고 보호자 단독 승차 불가능)

     (서비스 기간) 출산(예정) + 1년 기간까지

     (할인율) KTX 열차별 승차율에 따라 열차별로 지정된 특실좌석을 일반실 가격으로 제공(특실요금 면제)
       ○ 지연할인증 이외에 다른 할인과 중복 적용없음
       ○ 일반실 운임은 할인하지 않음

 

 

SRT임산부 할인은 에스알 멤버십 가입 후 멤버십 번호가 필요하고 신청 당일 이용은 불가한다.

        (지원대상) 에스알 회원 중 임산부 외 보호자 1명(임산부와 동행하지 않고 보호자 단독 승차 불가능)

        (서비스 기간) 출산(예정일) + 1년 기간 까지

        (할인율) SRT 열차별 승차율에 따라 지정된 좌석의 운임을 30% 할인
           특실 서비스요금은 할인하지 않고(운임만 할인) 최저운임 이하로는 할인하지 않음
           다른 할인과 중복으로 적용하지 않음

 

 

에너지 바우처 서비스

  • 지원형태: 서비스이용권 
  • 지원내용: 세대원 수를 고려하여 세대당 금액을 차등 지급(2022년 지원금액 한시적 인상)
     - 1인 세대 : 137,200원 (여름 29,600원 + 겨울 107,600원)
     - 2인 세대 : 189,500원 (여름 44,200원 + 겨울 145,300원)
     - 3인 세대 : 258,900원 (여름 65,500원  + 겨울 193,400원)
     - 4인 이상 세대 :  347,000원 (여름 93,500원 + 겨울 253,500원)
  • 다음의 경우 겨울 바우처와 중복 지원 불가

    ㅇ 「긴급복지지원법」 따라 동절기 연료비(2022년 10월~)를 지원 받은 수급자

    ㅇ 한국에너지공단의 2022년 등유나눔카드를 발급 받은 자(세대)

    ㅇ 한국광해광업공단의 2022년 연탄쿠폰을 발급 받은 자(세대)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의료수급자)

     ○ 임신·출산 진료비 100만 원(다태아 140만 원)
        -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진료를 용이하게 받기 어려운 지역에 계속하여 30일 이상 거주하는 경우

           20만 원 추가 지원 (2016.7.1. 시행)
          * 2016. 7. 1 이후 임신 출산 진료비를 신청하는 경우부터 적용

     ○ 임신·출산 진료비 추가금 지급 대상 지역
        - 인천 : 옹진군
        - 경기 : 양평군
        - 강원 : 평창군, 정선군, 화천군, 인제군
        - 충북 : 보은군, 괴산군
        - 충남 : 청양군
        - 전북 :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 전남 : 보성군, 장흥군, 함평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 경북 : 청도군,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봉화군, 울릉군
        - 경남 : 의령군, 남해군, 함양군, 합천군

 

청소년 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 지원형태:   현금/현물 
  • 지원내용:   임신 1회당 120만 원 범위 
  • 지원 대상 : 임신부
  • 연령 기준 : 만 18세 이하

 

 

 

 

참고로 필자의 관할 보건소에는

임신전 풍진검사,

임신초기 검사(산부인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음),

다자녀맘 건강관리지원,

난임부부 시술비지원,

한방 난임 치료비지원,

미숙아·선청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선천성 대사이상아 검사 및 환아지원,

신생아 난청조기진단,

보충영양사업,

아토피·천식환아 의료비 지원,

고위험임산부 의료비 지원,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등이 있다.

 

이외에도 지차체별로 다양한 임신·출산관련 서비스가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관할 보건소에 가서 문의해 볼 것을

추천드린다.

 

2022.10.09 - [일상다반사] - 청약 특별공급(다자녀, 노부모부양, 기관추천) 요약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