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지난번에 이어서 부동산 빅데이터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는 아실 앱에 대해 마지막으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부동산 스터디
부동산 스터디에서 화면을 슬라이드로 넘겨주면 공급물량부터 외지인 투자 탭이 나온다.
하나씩 그 기능에 대해 살펴보자.
2. APT 공급물량
서울 전체 APT 공급물량뿐만 아니라 시/구/군의 공급물량을 알 수 있고, 다른 지역 공급물량을 그래프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공급물량 역시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써 활용하시길 추천드린다.
3. APT 미분양
서울을 비롯한 각 지역의 시/구/군의 APT 미분양 수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사람들의 아파트 구매심리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로써 공급물량과 함께 파악하시길 추천드린다.
4. 인구변화
전국 지역별(시도, 시군구, 읍면동)의 인구현황을 알 수 있는 기능으로 월간, 분기, 연간 인구수를 파악할 수
있다. 관심 지역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파악하여 앞으로 아파트 가격에 미칠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5. 분양가 비교
분양가 비교를 터치하면 해당 지역의 입주연월 순으로 단지명 목록이 나온다.
비고 란에서 보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경쟁 단지 가격비교 페이지가 나온다.
분양하는 아파트가 고분양으로 비싸게 나왔는지 합리적인 가격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청약 전에 반드시 살펴봐야 할 데이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6. 학군비교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리나라에서 학군은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인이다.
학군 비교를 터치하면 해당 지역 학교들 간의 진학률과 학업성취도가 데이터가 나온다.
진학률은 졸업생 수 대비 특목고 진학 비율을 의미하고, 학업성취도는 국어, 영어, 수학의 평균 점수를
의미하므로 이를 참고하여 미래 독자분들의 자녀를 어떠한 학교로 진학시키실지 고민하시길 추천드린다.
7. 대단지 APT
대단지 순위를 선호하는 이유는
첫째, 아파트 단지 규모가 클수록 관리비가 적게 나온다.
둘째, 커뮤니티 시설이 잘 되어 있으며 다양한 편의를 누릴 수 있다.
셋째, 부동산 매도 시에도 아파트 거래 물량이 많기 때문에 최근 부동산 시세 자료를 잘 파악할 수 있어서
환금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따라서 관심 지역의 대단지 순위를 파악하는 것이 아파트 매수 시 중요한 지표로 삼을 수 있다.
8. 조회수
조회수는 해당 지역 아파트의 관심도, 인기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다.
9. 월세수익률
월세수익률은 임대인이 임차인을 구하려고 할 때 얼마 정도까지 받을 수 있을지 알 수 있고,
임차인 입장에서는 얼마나 저렴하거나 합리적으로 월세를 내고 살 수 있을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10. 사이버 모델하우스
사이버 모델하우스는 분양하는 아파트 단지 모델하우스를 직접 가지 않아도 아파트 구조가 어떻게 나왔는지
알 수 있는 기능이다. e모델에서 보기를 터치하면 다음과 같은 모델하우스 사진이 나오는데 직접 모델하우스에 방문하지 않아도 방 구석구석 어떠한 형태로 나왔는지 파악할 수 있어 독자분들의 시간을 절약해 줄 수 있다.
11. 외지인투자 증가지역
마지막으로 외지인 투자 증가 지역을 보면, 외지인은 해당 지역에서 어떠한 곳에 투자했는지 월별 거래현황을 통해 파악할 수 있고, 현지인은 어떠한 곳에 투자했는지 알 수 있는 하나의 지표이다.
지금까지 1탄에 이어 2탄까지 부동산 빅데이터 정보를 제공해주는 아실 앱을 활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부동산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이미 아실 앱에 대해 잘 아시고 활용하고 계시겠지만,
부동산에 이제 관심이 생기신 분들에게는 아실 앱이 생소하실 수도 있을 것이다.
아실 앱에 어떠한 기능이 있는지 일일이 클릭해 보면 금방 아실 테지만, 생각보다 정확히 파악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으니 필자의 블로그를 한 번 읽고 나서 사용하시길 추천드리며 글을 마치고자 한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안에 숨어있는 내 '환급금 찾기' (0) | 2022.09.28 |
---|---|
놓치면 아까운 SKT VIP멤버십 100% 활용하기(1탄) (2) | 2022.09.26 |
잠자는 내 카드통합포인트 조회하고 계좌로 입금하기 (0) | 2022.09.23 |
5분안에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조정' 알아보기 (2) | 2022.09.22 |
3분만에 쉽게 파악하는 공무원 맞춤형 복지포인트 제도 (4) | 2022.09.21 |
댓글